구분 | 교과목번호 | 교과목 | 학년 | 학기 | 학점 | 시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이론 | 실습 | ||||||
전공선택 | FAT206 | 미술해부학실기 | 2 | 1학기 | 3 | 2 | 2 |
FAT207 | 서양화 | 2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217 | 아트·디자인론 | 2 | 2학기 | 3 | 3 | 0 | |
FAT215 | 아트·디자인실기Ⅰ | 2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216 | 아트·디자인실기Ⅱ | 2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208 | 영상 | 2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204 | 재료기법Ⅰ | 2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210 | 재료기법Ⅱ | 2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203 | 전공실기Ⅰ | 2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209 | 전공실기Ⅱ | 2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212 | 판화 | 2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213 | 한국화 | 2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10 | 다매체표현Ⅰ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04 | 디지털프린트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07 | 문화상품개발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16 | 미술교과교육론 | 3 | 2학기 | 3 | 3 | 0 | |
FAT315 | 미술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| 3 | 1학기 | 3 | 3 | 0 | |
FAT312 | 색채와공간계획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11 | 실용미술제작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05 | 실용생활디자인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03 | 자유제작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09 | 전시기획실습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13 | 컴퓨터아트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06 | 패턴디자인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08 | 포트폴리오제작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302 | 표현기법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14 | 현대미술론 | 3 | 2학기 | 3 | 3 | 0 | |
FAT401 | 다매체표현Ⅱ | 4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411 | 매체연구 | 4 | 1학기 | 3 | 3 | 0 | |
FAT409 | 미술교과논리및논술 | 4 | 2학기 | 2 | 2 | 0 | |
FAT410 | 아트·디자인실기Ⅲ | 4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403 | 인테리어디자인 | 4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402 | 전시와커뮤니케이션 | 4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408 | 졸업작품제작 | 4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406 | 현대미술종합세미나(캡스톤디자인) | 4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412 | 현대아트·디자인종합세미나 | 4 | 2학기 | 3 | 2 | 2 | |
전공필수 | FAT200 | 미술사 | 2 | 1학기 | 3 | 3 | 0 |
FAT202 | 예술철학 | 2 | 2학기 | 3 | 3 | 0 | |
FAT201 | 조형론 | 2 | 1학기 | 3 | 3 | 0 | |
FAT300 | 전공실기Ⅲ | 3 | 1학기 | 3 | 2 | 2 | |
FAT301 | 전공실기Ⅳ | 3 | 2학기 | 3 | 2 | 2 | |
FAT400 | 전공실기Ⅴ | 4 | 1학기 | 3 | 2 | 2 | |
학과교양 | DEP579 | 소묘 | 1 | 1학기 | 3 | 2 | 2 |
DEP534 | 소재와기법Ⅰ | 1 | 1학기 | 3 | 2 | 2 | |
DEP535 | 소재와기법Ⅱ | 1 | 2학기 | 3 | 2 | 2 | |
DEP580 | 조형연구 | 1 | 2학기 | 3 | 2 | 2 |
교과목명 | 교과목 개요 |
---|---|
다매체표현Ⅰ | 평면회화에 실크스크린 기법을 접목시켜 또 하나의 예술장르를 창조하고, 복합적인 작품제작을 통해 새로운 표현력과 다양성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다매체표현Ⅱ | '다매체표현Ⅰ'의 심화과정으로, 졸업 작품에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모색하여 창의적인 표현으로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디지털프린트 | 첨단 기계매체의 이미지제작방식에 회화와 판화기법을 접목시켜 표현의 다양성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. |
매체연구 | 표현대상의 정확한 해석을 토대로 다양한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방법론을 모색하여 독창적인 이미지를 창조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문화상품개발 | 공예미술디자인의 창작능력을 기반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능력을 함양시킨다. |
미술교과교육론 | 미술가와 미술교육자의 차이와 미술교육의 목적을 인지시키고 예비 미술교사로서의 전문적인 지식은 물론 인성교육에 힘쓴다. |
미술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| 이론적인 학습보다 학습 현장에서 발생하고 수행해야 하는 현실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게 한다. |
미술교과논리및논술 | 미술교과 논리 및 논술 이론을 통해 임용고사 미술이론 및 전공논술에 대비한다. |
미술사 | 미술사에 수록된 작품을 분석하여 역사적인 지식고취 및 창작활동에 활용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미술해부학실기 | 인체표현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실기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. |
색채와공간계획 | 생활공간의 미적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색채원리를 포함한 종합적인 활용능력을 키운다. |
서양화 | 회화의 기초적인 지식을 미술사에서 탐구하여 제작방식의 개별화 및 창의적인 사고를 계발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소묘 | 표현대상의 정확한 관찰과 표현에 필요한 조형예술의 기초적인 실기능력을 숙달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소재와기법Ⅰ | 여러 재료와 소재를 이용하여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실기기능을 함양시킨다 |
소재와기법Ⅱ | 여러 재료와 소재를 이용하여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실기기능을 함양시킨다 |
실용미술제작 | 미술의 다양한 기법을 심화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미술품을 제작하는 디자인 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실용생활디자인 | 미술의 다양한 기법을 숙지하여 생활미술품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. 목조형가구디자인, 도자공예디자인, 섬유조형디자인의 process를 익힌다. |
아트·디자인론 | 아트·디자인 개념, 종류, 목적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아트·디자인의 본질을 숙지하고 작품개념 및 표현원리를 전문화한다. |
아트·디자인실기Ⅰ | 아트·디자인의 기본적인 개념 및 관련지식을 학습하여 창의력 향상과 동기부여를 고취시키는데 목표를 둔다. |
아트·디자인실기Ⅱ | 아트·디자인의 기본적인 개념 및 관련지식을 심화하여 창의력 향상과 동기부여를 전문화하는데 목표를 둔다. |
아트·디자인실기Ⅲ | 기본과정에서 습득해 온 아트·디자인 기법과 표현을 통합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한 새로운 조형세계를 구축한다. |
영상 | 이미지제작의 원리를 회화, 사진, 동영상의 범위에서 탐구하여 시대의 선구자로서 역량을 함양한다. |
예술철학 | 철학적 분석능력과 창조적 활동 간의 개념을 탐구하여 미술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고취시키는데 목적을 둔다. |
인테리어디자인 | 현대 생활공간에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디자이너의 계획능력을 고취시킨다. |
자유제작 | 개별적인 제작방식과 원리를 습득하여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도록 한다. |
재료기법Ⅰ | 재료의 다양성을 연구하여 표현영역을 확장하고 개별화 및 전문성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둔다. |
재료기법Ⅱ | 재료의 다양성을 연구하여 표현의 독창성 및 전문성을 심화하여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고취시킨다. |
전공실기Ⅰ | 시각미술의 기초적인 원리를 파악하여 표현개념과 표현방법 숙지 및 실험욕구를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전공실기Ⅱ | 시각미술의 기초적인 원리를 파악하여 표현개념과 표현방법 숙지 및 실험욕구를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전공실기Ⅲ | 미술사적 지식을 기반으로 전통과 현대적인 재료 및 기법의 차이를 연구하여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전공실기Ⅳ | 미술사적 분석능력을 심화하여 독자적인 작품계획에서 창의적인 작품제작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전문화한다. |
전공실기Ⅴ |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숙지하여 개별적이자 창의적인 표현기법과 개념의 사회적 가치를 연구 및 구현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전시기획실습 | 개별적인 제작방식과 원리를 심화하여 창의적인 작품제작을 전문화한다. |
전시와커뮤니케이션 | 미술에서의 전시의 기능과 역할을 탐구하여 작품의 가치를 높이고 대중과의 소통을 연구한다. |
조형론 | 역사적으로 축척된 미술의 물체조형과 관념조형성을 파악 및 이해하여 전문지식을 함양한다. |
조형연구 | 평면과 입체의 조형예술에서 기본적인 조건을 숙지하여 창조적 상상력을 실현하는데 목표를 둔다. |
졸업작품제작 | 실기와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작품을 전시하여 작가로써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. |
컴퓨터아트 | 첨단과학기술인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평면과 입체미술의 범주를 확장한다. |
판화 | 기초적인 판화기법을 익혀 창의적인 표현방법을 습득하게 한다. |
패턴디자인 | 문양의 묘사방법과 구성 원리를 숙지하여 작품제작과 실생활에 활용할 창의적 표현능력을 함양한다. |
포트폴리오제작 | 포트폴리오 제작방법을 습득하여 작가로써 진출하기 위한 조건을 마련한다. |
표현기법 | 개별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독창적인 표현능력을 고취시키는데 중점을 둔다. |
한국화 | 한국미술의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숙지하여 현대미술에 활용 및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. |
현대미술론 | 현대미술에 관한 비판과 분석능력을 전문화하여 미적 판단능력과 안목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. |
현대미술종합세미나(캡스톤디자인) | 작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조건을 습득하여 국내외 미술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자질을 구축한다. |
현대아트·디자인종합세미나 | 현대 아트·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을 연구하고, 하나의 작품을 기획, 설계, 제작하는 과정을 익힌다. |